고전학파
경제 사상사에서 최초의 근대 경제 이론으로 지목하는 경제학의 한 부류이다. 고전경제학을 정립한 주요 학자로는 애덤 스미스, 토머스 멜더스, 데이비드 리카르도, 존 스튜어트 밀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윌리엄 퍼티, 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 그리고 카를 마르크스 등이 있다.
1776년 출간된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이 통상적으로 고전경제학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 19세기 중반까지 고전경제학은 경제 이론에 큰 영향력을 떨쳤으며, 1870년 시작된 영국의 신고전경제학 대두의 시초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케인즈주의
존 메이너드 케인즈가 시초다.
20세기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즈의 사상에 근거한 경제학 이론이다. 케인즈 경제학은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이 함께 긴요한 역할을 하는 혼합경제를 권려한다. 이는 시장과 민간 부문이 국가의 간섭이 없는 상태에서 가장 잘 돌아간다고 강조하는 방임주의적 자유주의와는 대단한 격차가 있으며, 실제 케인즈 경제학은 여러 경제학자들이 방임주의의 실패로 인한 것으로 여기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케인즈의 이론은 거시경제적 흐름이 각 개인들의 세부적 행동을 제압할 수 있다고 말한다. 경제적 과정을 잠재 생산의 계속적인 성장으로 보는 18세기 후반 고전 경제학자들의 시각과는 달리, 케인즈는 (특히 불황기에) 경제를 이끌어 가는 요소로서 상품에 대한 총수요를 주장했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1930년대의 높은 실업률과 디플레이션에 대해 전체적인 규모에서 조처하기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소비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불황 시기에 정부가 지출을 늘리면 보다 많은 돈이 유동되므로 시민들의 소비와 투자가 유인되어 경제가 정상 상태를 극복한다는 것이 케인즈의 주장이다. 이는 공급경제학에 반대되는 의미이다.
시카고학파
시카고학파 (경제학)는 시카고 대학교의 학생들과 교수진들의 연구와 관련된 신고전파 경제학 학파이다.
시카고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들로는 경제학의 거물들인 밀턴 프리드먼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가 있다. 거시 경제학의 맥락에서, 시카고학파는 연안 대학들에 기반을 둔 짠물 학파와 대조적으로, 거시 경제학의 "민물 학파"와 관련된다. 1970년대 중반까지 시카고 거시 경제 이론은 통화주의를 지지하는 케인즈식을 배척해 왔는데, 그때 그것은 합리적인 기대의 개념에 근거하여 주로 새로운 고전적인 거시 경제학으로 돌아섰다. 민물 학파와 짠물 학파의 구분은 두 전통이 서로 굉장히 결속된 개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대개 구식이다. 구체적으로, 새케인스학파 경제학자들은 새로운 고전적인 경제학에 대한 반응으로 불완전한 경쟁과 끈적거리는 임금에 대한 전통적인 케인스 학파의 집중을 포기하지 않고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기대치를 반영하기로 결단했다.
시카고학파의 역사적 영향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영국의 마거릿 대처 수상이 1980년도에 시카고학파의 경제학 이론들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미국과 영국의 경제 정책에 반영 시켰다. 게다가 남미에서는 시카고대 출신 경제학자들이 경제부 총리 같은 중요 직책들을 다루었다.
오늘날의 시카고학파
시카고 대학의 경제학부는 지난 6년간 4개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과 총 30개의 노벨 경제학상으로 2, 3위이자 다른 세계적인 경제학부인 하버드나 MIT를 합친 것보다도 노벨 경제학자들을 압도적으로 많이 배출해 오고 있다. 현재 시카고대의 경제학부는 전통적인 시카고학파 출신보다는 여러 가지 다른 사고를 가지고 있는 교수진들로 결성되어 있다. 이러한 교수진 중에서 대표적으로 2017년도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자 시카고학파 출신 교수인 2013년도 유진 파마 교수의 이론 효율적 시장 가설을 반대하는 리처드 탈러 교수가 있다.
정책면에서는 전 세계 경제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중앙은행 총재, 은행가, 지식인 30명으로 구성된 G30 조직에서 5명이 모두 시카고대 출신이다. 이 5명은 전 일본 중앙은행 총재, 전 인도 중앙은행 총재이자 IMF의 총괄 경제학자, 전 이스라엘 중앙은행 총재이자 미국의 가장 큰 은행인 JP 모간 체이스의 총괄 회장,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은행인 UBS 회장, 그리고 "중앙은행의 중앙은행"이라고 부리는 Bank of International Settlements (중앙은행들을 관리하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중앙은행)의 총재가 포함되어 있다.
계량경제학
계량경제학은 경제학의 한 분야이다. 계량측정학이라고도 말한다. Econometrics의 어원은 그리스어 oikonomia(경제)와 metron(측정)이다.
방법론
계량경제학적 연구가 어떤 순서로 행해지는가를 설명함으로써 계량경제학이 무엇인가는 밝혀질 수 있다. 계량경제학의 방법론은 대강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이론을 형성하고, 둘째, 형성된 경제이론을 수식화한다. 다시 말하여 모형 구성(Model Building)을 행한다. 그리고 셋째, 수식화에서 얻은 식(혹은 함수)에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과거의 통계자료를 부합시켜서 식의 '파라미터'의 구체적인 가격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검사형 증명한다. 여기서 통계학이 인용된다.
예를 들어 '소비는 소득만에 의해서 변동한다'라는 이론을 세웠다면, 이때 소비(C)와 소득(Y)의 관계를 선형으로 가정하여 C=Co+cY로 표시할 수 있다. 그 이후 통계 방법의 하나인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과거의 통계자료에서 이 식의 '파라미터'인 Co와 c의 구체적인 가격을 결단하고 그 결과를 검증한다. 만일 Co와 c의 구체적인 값이 각각 10,000, 0.851이라고 한다면 이 식(이 경우에는 소비함수)은 C=10,000+0.471Y가 된다. 또 만약 이 식의 '파라미터'가 통계적 검증에 합격 또는 채택된다면 이 식은 이용 가능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계량경제학적 연구는 경제이론의 형성, 경제이론의 수식화(모형 구성), 수식화된 결과(구성된 모형)의 통계적 확정 및 검정의 세 가지 과정을 거쳐서 시행되며, 수학, 통계학의 화합하에 행해진다.
다른 분야와의 차이
계량경제학회의 회칙 제1조를 보면 "계량경제학회는 통계학 및 수학에 관련하여 경제이론의 발전을 장려하려고 하는 국제적인 학회이다……그 중심이 되는 목적은 여러 가지 경제문제에 대한 논리적 수량적 접근과 경험적 수량적 접근의 종합을 목표로 하는……제연구(諸硏究)를 촉진하는 것이다"로 되어 있다. 또 이 제1조를 소상히 보충해 주고 있는 동학회의 기관지인 『이코노메트리카(The Econometrica)』에 실린 프리시(R. Frisch)의 창간사(創刊辭)를 보아도 "……응당 경제학에의 수량적 접근에는 약간의 국면이 있으며 이들 어느 하나도 그 자체로서는 계량경제학과 혼동되어서는 안된다……경험이 표시하는 바에 의하면 이들 세 가지 관점 즉 통계학, 경제이론 및 수학의 각각은 현대경제생활에 있어서의 수량적 관계의 정직한 이해를 위한 필요조건이기는 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막강한 것은 이들 세 가지의 종합이다. 그리고 계량경제학을 결성하는 것은 이 종합이다……"로 되어 있다. 이에서 계량경제학의 근본은 어디까지나 '삼자의 종합'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계량경제학은 수리경제학과도, 그리고 통계적 경제학과도 구분된다.
수리경제학
수리경제학은 경제학 문제를 검토하고 이론을 표현하는 수학적 방식의 응용이다. 수학은 경제학자들이 쉽게 표현하기 어려운 다양하고 복잡한 주제에 관한 가치 있고 테스트 가능한 문제들을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더 나아가, 수학 언어는 경제학자들이 수학 없이 불가능한 논쟁이 있는 주제에 관해 구상적이고 긍정적인 주장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실험경제학
실험경제학은 경제에 관한 과제들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방식의 응용[이다. 실험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효과 크기를 산출, 경제이론의 효력을 검사, 시정 구조를 관찰하는 데 사용된다. 경제 실험을 할 때에는 보편적으로 현금을 사용하여 논제를 정한다. 이러한 실험들은 시장들과 기타 교역 체계들이 작동하는 방식과 까닭을 공감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주제의 근원적인 측면은 실험 계획이다. 실험은 포장시험이나 그와 반대인 연구소 환경에서 거행할 수 있고, 이는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을 목표로 한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이론 (0) | 2022.07.14 |
---|---|
개발경제학과 문화경제학 (0) | 2022.07.13 |
대한민국과 스웨덴의 복지 (0) | 2022.06.29 |
교육경제학과 거시경제학 (0) | 2022.06.28 |
국제무역과 금융, 환경경제학 (0) | 2022.06.20 |
댓글